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바이든 “정부기관 40만대 전기차로 교체”,,,현대차 고민 커져

기사승인 2021.01.28  08:51:34

공유
default_news_ad1

20일 취임 즉시 기후협약 복귀 행정명령에 서명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정부 기관서 사용하는 자동차를 전기차로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전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와 마찬가지로 ‘바이든식 바이 아메리카’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바이든은 “미 정부 관용차를 전기차로 바꾸겠다”며 “미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여야 하며, 미국산 부품이 적어도 절반은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미 CNBC에 따르면 지난 25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은 연방정부가 물품을 조달할 때 미국산을 우선으로 하는 ‘바이아메리칸(Buy American)’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정부기관의 자동차나 트럭 등을 미국에서 만들어진 전기차로 교체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수량이나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그는 “미국 자동차 업계에서 새 일자리 10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 실현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바이 아메리칸 행정명령은 정부가 구입하는 차량에서 미국산 부품을 최소한 50% 사용을 요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50% 문턱은 높지 않다”며 “기업들은 더 많은 미국산 부품을 써야 한다”고 단서를 달았다.

현재 미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기업은 테슬라와 GM, 닛산자동차 정도다. 포드는 미국 내 생산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미 연방정부 차량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은 2019년 기준 44만5777대(군용 포함)다. 

미국 전기차 점유율 1위인 테슬라의 연간 생산량이 50만대 정도로 알려져 있다.

GM과 포드 등 미국 빅2 자동차 제조업체는 환영했다.

GM은 성명을 통해 “미국 제조업을 지원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약속은 고무적”이라며 “행정명령의 세부사항을 검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드는 “미국, 미국인, 미국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국가적 임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트럼프와 달리 자유무역주의와 세계 포용을 얘기하지만 미국 기업과 자국 경재를 우선하는 것은 트럼프와 별다르지 않다는 것이어서 한국 기업에는 타격이 예상된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4위까지 오른 현대차그룹은 먹구름이다. 현대차는 곧바로타격을 받으면서 전날(27일) 주가가 장중 24만5천원까지 하락했다고 245,500원으로 6천원 -2.4% (시가총액 52조 4554억원, -132억원) 하락한 채 마감됐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미국 현지 공장에 전기차 생산라인을 갖추지 않고 있다.  

한국과 유럽 공장에 생산라인이 전부다. 코나 전기차 등 안전성도 확보되지 않아 안전기준이 높은 미국 시장 문턱이 높은 상황이다.

정부 기관 구매령몬 보고 투자하기도 부담이고 안 하자니 향후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2035년부터 가솔린 신차의 판매가 금지된다.

미 연방정부 차량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은 2019년 기준 44만5777대(군용 포함)다. 

미국 전기차 점유율 1위인 테슬라의 연간 생산량이 50만대 정도로 알려져 있다.

현재 미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기업은 테슬라와 GM, 닛산자동차 정도다. 포드는 미국 내 생산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GM은 곧바로 성명을 통해 “미국 제조업을 지원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약속은 고무적”이라며 “행정명령의 세부사항을 검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드는 “미국, 미국인, 미국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국가적 임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국내 재계에서도 바이든 행정부 출범 때는 큰 기대감을 보였던 것과 달리 전망이 낙관에서 신중한 분위기로 바뀌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김봉만(49) 국제협력실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최악의 코로나 사태 속에서 2년뒤 중간 선거도 염두에두어야 하기 때문에 향후 2년간은 미국 기업 우선의 경제정책을 쓸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미국이 재정 지출을 늘리고 친환경 투자를 확대하더라도 한국 기업이 이 혜택을 받기 위해 미국에 직접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한국 내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예상을 내놓았다. 

뉴스플러스 press1@news-plus.co.kr

<저작권자 © 뉴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